Dr. Ji-Yeon Yuh (지연 유) 교수의 인터뷰는 한국전쟁을 비롯한 아시아 전쟁 신부(military brides)의 역사와 미국 이민법, 그리고 사회적 시선을 깊이 있게 다룬 귀중한 연구입니다.

다음은 해당 인터뷰 내용을 핵심 주제별로 요약 정리한 내용입니다:

War Brides Act와 아시아 여성 제외

  • War Brides Act (1945):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 여성과 결혼한 미군 병사들이 아내를 미국으로 데려올 수 있도록 만든 법.

  • 하지만 이 법은 아시아 여성(한국, 일본, 베트남 등)은 포함하지 않았음.

  • 유럽 주둔 미군은 아내를 데려올 수 있었지만, 아시아 주둔 미군은 차별을 겪음.

1947년: 예외 조항 신설

  • 미 의회는 일본 주둔 병사들을 위해 한시적으로 예외를 허용.

  • 한국 여성은 이례적으로 ‘비자 특례 기간’ 중 입국 가능했음.

 1952년 이민법 개정

  • 1952년, 아시아 이민을 전면 금지했던 법이 폐지됨.

  • 이후 아시아 여성도 미군의 배우자 자격으로 이민 허용됨.

‘War Bride’ vs. ‘Military Bride’

  • ‘War bride’는 법률상 ‘전쟁 신부법’에 따라 입국한 여성.

  • 그러나 대부분의 아시아 여성들은 이 법이 아닌 다른 경로(특례, 이민법)를 통해 입국했기 때문에 Dr. Yuh는 ‘Military Bride(군인 신부)’라는 용어를 따로 사용함.

  • 한국 군인 신부는 약 10만 명

이민 연쇄 효과와 커뮤니티 형성

  • 군인 신부들은 미국에 정착 후 가족(형제, 부모, 친척)을 초청하며 이민의 연결고리 역할 수행.

  • 특히 1965년 이민법 개정 이후 가족 초청이 활발해짐.

  • 많은 군인 신부들이 새 이민자들의 정착을 도우며 커뮤니티 리더 역할도 함.

미국 사회의 편견과 스테레오타입

  • 아시아 군인 신부 = 전직 성매매 여성, 금전적 목적의 결혼이라는 고정관념 존재.

  • Camp Town 주변의 매춘 산업과 결합되어 ‘모두가 그랬을 것’이라는 인식 퍼짐.

  • Dr. Yuh는 실제 인터뷰에서 일부 여성은 강제 성매매 피해자였으며, 인신매매로 연루된 사례도 있음을 소개함.

높은 이혼율의 원인

  • 일부 연구에서 군인 신부의 이혼율은 80%에 달함.

  • 주된 원인:

    • 어린 나이에 결혼

    • 문화, 언어 장벽

    • 미군의 가정 유지 능력 부족

    • 남성의 기대와 현실의 괴리

    • 한국에서는 유능했던 여성도 미국에서는 언어와 제도적 장벽으로 무력하게 보일 수 있음

귀국 불가와 미국 내 잔류

  • 이혼 후 한국으로 돌아가는 여성은 거의 없음. 이유는:

    • 가족의 결혼 반대 → 연 끊김

    • 한국 사회의 전처·외국인 남편과 이혼한 여성에 대한 낙인

    • 취업·재혼 기회 전무


인터뷰:

"미국 첫 ‘Korean War Bride’ 리 용순(Lee Yong Soon)씨 이야기"Q1: 두 분은 어떻게 만나게 되었나요?

Blue: “공동 근무 부서에서 알게 되었어요. 제 파란 스웨터를 보고 동료들이 ‘Blue’라고 부르기 시작했죠.”

결혼까지 어떤 과정을 거쳤나요?

1950년 북한군이 서울을 점령할 당시, Blue는 남편을 찾아 맨발로 부산까지 걸어갔다고 해요. 결혼 허가는 군·이민국 절차로 인해 약 5개월 넘게 걸렸습니다.

미국으로 귀환하셨을 땐 어떤 반응이었나요?

1951년 11월, 이 부부가 시애틀에 도착하자 시애틀 시민들이 환영 밴드 연주와 함께 뜨겁게 맞아줬습니다. 시 정부는 Blue에게 $100 저축 채권을 선물했어요. Johnie의 어머니는 “정말 오길 잘했다”고 감격의 포옹을 했다고 전해집니다.

한국전쟁 전쟁 신부 규모

GI brides vs. military brides 구분이 존재
미군과 결혼한 아시아 여성은 “전쟁 신부”보다 ‘military bride’로 불리며 약 100,000명 이상의 한국 여성들이 1950년대부터 미국으로 입국했다고 알려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