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구글로 검색 한국어 키워드를 살펴보면,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들의 삶이 그대로 투영퇴는 트랜드의 변화가 보인다.
아래는 2024년도 부터 2025년도 6월까지 인기 검색어들이다.
1. K-Content (드라마, 영화, 예능)
'눈물의 여왕' (Queen of Tears)
'선재 업고 튀어' (Lovely Runner)
'내 남편과 결혼해줘' (Marry My Husband)
'피라미드게임' (Pyramid Game)
'살인자 o 난감' (A Killer Paradox)
'정년이' (Jeong Nyeon)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 (The Black and White Chef: Culinary Class War)
2. K-Pop (음악, 아이돌)
'RIIZE' (라이즈)
'NCT WISH' (엔시티 위시)
'NCT DREAM' (엔시티 드림)
'밤양갱' (Bam Yang Gang)
'Supernova' (슈퍼노바)
'Magnetic' (마그네틱)
'해야 (HEYA)' (Heya)
'데이식스' (DAY6)
3. Recipes and Food (레시피, 요리)
'어남선생(류수영) 레시피' (Ryu Soo-young's recipes)
'밀푀유 나베' (Mille-feuille Nabe)
'훈제 오리 요리' (Smoked duck dishes)
'등갈비' (Pork ribs)
'나박김치' (Nabak Kimchi)
'두끼 떡볶이 레시피' (Dookki Tteokbokki recipe)
4. Community and Daily Life (커뮤니티, 생활정보)
'미씨USA' (MissyUSA, a Korean-American women's community)
'라디오코리아' (Radio Korea)
'잡코리아USA' (Job Korea USA)
'오렌지카운티 한인 교민 커뮤니티' (Orange County Korean community)
'LA 한인타운' (LA Koreatown)
'미국 한인 재테크' (Financial tech for Korean-Americans in the U.S.)
'미국 한인 비자' (U.S. visa for Koreans)
5. Language and Learning (언어, 학습)
'한글' (Hangeul, the Korean alphabet)
'한국어 배우기' (Learn Korean)
'한국어 인사말' (Korean greetings)
'한국어 슬랭' (Korean slang)
'한국 이름' (Korean names)
6. Miscellaneous (기타)
'토익' (TOEIC)
'산리오' (Sanrio)
'채식주의자' (Vegetarian)
'축구' (Soccer)
'한국이 싫어서' (Because I hate Korea, a book title)
미국에 살아도 즐겨보는 한국 드라마만큼 재미있는 컨텐츠가 또 있을까?
한글로 많이 검색되는 콘텐츠는 눈물의 여왕, 선재 업고 튀어, 내 남편과 결혼해줘 같은 드라마 제목들이다. 피라미드게임이나 살인자 난감, 정년이, 흑백요리사 같은 콘텐츠도 구글 단골 검색어이다.
그리고 K-팝 검색어도 많은데 요즘 뜨는 RIIZE, NCT WISH, NCT DREAM 가 많이 보인다. 밤양갱, Magnetic, HEYA 같은 노래 제목도 등장하는데, 이건 한국에서처럼 그 노래를 들었다기보단, 유튜브 쇼츠나 틱톡에서 자주 들리는 멜로디가 궁금해서 찾아본 경우가 많다.
미국 마트에서는 절대 안 파는 맛. 그게 생각날 때 우리는 검색창에 손이 간다. 류수영의 레시피, 밀푀유 나베, 훈제 오리 요리, 등갈비, 나박김치, 두끼 떡볶이 먹는것도 많이 검색하는것 같다.
미국에 살면서 미씨USA, 라디오코리아, 잡코리아USA, 오렌지카운티 한인 커뮤니티, LA 한인타운 같은 키워드도 눈에 띄게 많다. 또한 미국 한인 재테크, 미국 비자 정보 같은 검색도 보인다.
아무래도 한국어로 검색해야 정확하게 나오는 정보들이다 보니 여전히 한글로 찾는거 같다.
구글이 한국어 검색기능에 점점 신경을 쓰고 있은것 같아서 기분이 좋다.
2019년 정도만 해도 구글 한국어 검색은 마켙치면 엉뚱하게 미국 주식시장 정보가 나올정도로 좋지 않았거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