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LA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해 피해 복구와 보험 처리 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JP모건체이스는 이번 산불로 인한 주택보험 지급액이 약 200억 달러(약 29조 5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하지만 보험에 가입한 사람들조차 보험금 지급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LA 북부 알타데나에서 주택을 잃은 델라 토레(32)는 “보험사가 청구 금액을 감당하지 못하고 파산할까 우려된다”고 밝혔으며, 같은 지역에서 피해를 본 레오 프랭크(66)도 “보험금 지급이 지연되거나 전체 복구 비용을 지원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전했습니다.
이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많은 주민들이 아예 보험에 가입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잦은 산불로 인해 많은 보험사들이 캘리포니아주에서 보험 가입을 거부하거나 갱신을 축소했습니다. 캘리포니아주 보험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280만 건에 달하는 보험 계약이 거부되었으며, 그중 LA 카운티 지역은 53만1000건에 달합니다. 이로 인해 많은 주민들은 보험 없이 산불 피해를 감당해야 할 처지에 놓였습니다.
정부가 제공하는 최소한의 보험인 ‘페어플랜(FAIR Plan)’이 존재하지만, 보장 범위와 지급 여력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페어플랜의 보장 한도는 300만 달에 불과해, 피해를 입은 주택의 평균 가치는 이를 훨씬 초과하는 상황입니다. 또한 페어플랜이 보유한 잉여 현금은 2022년 기준으로 2억 달러에 불과해, 이 역시 충분한 지급 능력이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큽니다.
피해자는 보험금 외에도 연방재난관리청(FEMA)에서 최대 4만3600달러의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이는 개인 또는 가구당 제한된 금액입니다. 정부의 추가 보조금은 의회 통과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피해 주민들은 이에 의존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실제로 과거 허리케인과 산불 피해에서 보조금 정책은 의회를 통과하는 데 3개월에서 최대 1년 반이 걸린 사례도 있었습니다.
결국, LA 주민들은 재건을 위해 연방정부의 정책, 자선 기부, 저축 등을 비롯한 다양한 방법에 의존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일부는 자산인 토지를 매각하는 등의 자구책을 강구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번 LA 산불은 단순한 자연 재해를 넘어, 보험사들의 지급 여력과 가입 문제, 그리고 정부의 지원 한도 등 여러 측면에서 큰 문제를 낳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재건을 위한 다양한 수단을 모색하고 있지만, 정부와 보험사들이 피해 복구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을 얼마나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을지가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