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일부터 미국 정부는 중국 및 홍콩에서 발송되는 800달러 이하 소액 상품에 대해 면세 혜택을 폐지하고, 최대 145%의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 이로 인해 Temu는 기존의 중국 직배송 모델을 중단하고, 미국 내 재고를 활용한 현지 판매 방식으로 전환했습니다.

현재 Temu는 미국 시장을 완전히 포기한 것은 아니지만,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을 대폭 수정하며 사실상 '철수에 가까운 전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테무는 핀둬둬 산하의 온라인 장터 플랫폼 입니다. 중국 현지 생산 업체와 세계 소비자를 중간 유통 과정 없이 직접 연결하여 저렴한 상품들을 대량으로 판매하는 회사로 중국이나 미국의 생산자가 자사의 상품을 테무 물류 창고로 배송하기만 하면 나머지는 모두 관리해주는 완전 위탁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타임지는 2023년 12월 “불과 4개월 전에는 존재하지 않던 앱이 틱톡, 유튜브, 인스타그램을 제치고 가장 많이 다운로드됐다”며 “중국 공장이나 창고에서 배송되면서도 믿을 수 없을 만큼 저렴한 가격으로 고객을 모으고 있다”고 하면서 “테무의 인기가 계속될 경우 미국 소매업체와 글로벌 공급망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보도된적도 있었습니다.

비즈니스 모델의 전환

Temu는 이제 미국 고객에게 중국에서 직접 배송하는 상품을 제공하지 않으며, 미국 내 창고에 보관된 제품만 판매하고 있습니다 . 또한, 미국 내 판매자들을 모집하여 현지 조달 및 배송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광고 및 시장 점유율 변화

관세 정책 변화 이후, Temu는 미국 내 디지털 광고를 대폭 축소하였으며, 이에 따라 앱 다운로드 순위도 하락했습니다 . 이는 Temu의 미국 시장 내 입지 약화를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됩니다.

글로벌 전략의 변화

미국 시장의 불확실성 증가로 인해 Temu는 유럽 및 기타 지역으로의 확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이는 미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Temu는 미국 시장에서의 직접 배송 모델을 중단하고, 현지 판매 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기존 전략을 사실상 포기했습니다. 그러나 미국 시장을 완전히 철수한 것은 아니며, 새로운 방식으로 시장에 적응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향후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와 Temu의 대응 전략에 따라 미국 시장에서의 입지가 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