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은 사라질까, 아니면 50만 달러를 찍을까?

둘 중에 뭐가 더 먼저 올까?

요즘 비트코인 이야기만 나오면 꼭 나오는 질문이에요.

"언젠가는 50만 불 간다더라" vs. "아냐, 어느 순간 그냥 사라질 수도 있어"

이렇게 끝없는 양극단의 예측이 오가는 자산이 또 있을까요?

2025년 기준, 비트코인은 약 8만~11만 달러 사이를 오르락내리락하고 있어요.

그런데 여기서 50만 달러가 되려면 거의 5배 이상 상승해야 하죠.

그럼 이게 왜 가능하다고 보는 걸까요?

  1. 채굴량 반감기
    비트코인은 4년마다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이는 공급이 점점 줄어들기 때문에 희소성이 커진다는 뜻이죠.
    금과 비슷한 인플레이션 방지 메커니즘이에요.

  2. ETF 승인과 제도권 진입
    2024년에 비트코인 현물 ETF가 미국에서 정식 승인되면서
    월가 자금이 들어오기 시작했어요.
    이는 기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단순한 투기 자산이 아닌
    장기 투자처로 보기 시작했다는 뜻이에요.

  3. 법정화폐에 대한 불신
    전 세계가 물가 상승에 허덕일 때,
    비트코인은 국경 없는 디지털 가치 저장 수단으로 주목받아요.
    “인플레이션 헤지”라는 개념이 여전히 작동한다는 이야기죠.

이런 흐름이 이어지면, 10년 안에 50만 불은 충분히 ‘논의 가능한 수치’가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비트코인이 사라진다면?

사라진다는 건, 말 그대로 존재 자체가 무의미해지는 상황이에요.

이건 단순한 가격 하락이 아니라, 네트워크가 멈추거나 사용처가 없어지는 상황을 말하죠.

그럼 어떤 조건에서 비트코인이 사라질 수 있을까요?

  1. 정부의 극단적 규제
    중국처럼 "비트코인 사용 금지"를 선언하는 나라들이 늘어나고,
    국제공조로 디지털 자산을 강하게 통제하면
    사용자는 점점 줄 수밖에 없겠죠.

  2. 보안 위협 또는 기술적 결함
    비트코인은 10년 넘게 해킹된 적은 없지만,
    양자컴퓨터의 발전이나 내부 알고리즘의 취약점이 드러나면
    신뢰가 급격히 무너질 수 있어요.
    비트코인은 ‘신뢰 기반’이라,
    기술 신뢰가 무너지면 그냥 끝장나는 구조입니다.

  3. 새로운 기술로 대체될 경우
    비트코인은 최초지만, 가장 완벽한 코인은 아닙니다.
    속도 느리고, 수수료 비싸고, 실생활 결제에 불편해요.
    이런 점을 극복한 더 우수한 블록체인 기술이 등장하면
    지금의 비트코인은 '과거 유물'이 될 수 있어요.
    MS-DOS가 윈도우로 넘어간 것처럼요.

둘 중에 뭐가 먼저 올까?

정답은 누구도 모릅니다. 하지만 한 가지는 확실합니다. 둘 다 극단적인 상황이라는 것.

비트코인이 50만 달러가 되려면 지금보다 훨씬 더 강한 수요와 제도적 수용, 그리고 글로벌 경제 불안정이 전제되어야 해요.

반대로, 비트코인이 사라지려면 전 세계적으로 일치된 규제, 기술 붕괴, 혹은 대체자산의 폭발적 성장이라는 엄청난 사건들이 한꺼번에 일어나야 하죠.

즉, 두 상황 모두 쉬운 일은 아니라는 겁니다.

비트코인은 지금도 변동성은 높지만 그 자체가 이미 전 세계에 퍼져있는 금융 인프라의 한 축이 되었어요.

그래서 나의 결론?

사라지는 것보단 50만 달러 가는 게 더 빠를 확률이 높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우리는 수십 번 롤러코스터를 타야 할 거고, 그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지치고 포기할 수도 있어요.

비트코인은 단순한 투자가 아니라, 신념버팀의 싸움입니다.

그 싸움을 감당할 자신이 없다면, 애초에 너무 깊이 들어가지 않는 게 현명할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