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유튜버 하면 월 5천 불은 기본이래~”

“어머, 우리 아들 친구 엄마는 영상 하나 올렸다가 천 불 벌었대요~”

어디까지 진짜고, 어디까지 뻥일까요?

집안일하다 말고, 이 궁금증을 못 참고 직접 찾아봤어요.

참고로 전 아직 유튜브 구독자 1명도 없는 평범한 주부입니다ㅎㅎ

일단, 유튜브에서 수익 나려면 조건이 있어요.

구독자 수 1,000명 이상, 영상 시청 시간 연 4,000시간 이상.

이거 넘겨야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이라는 데 신청할 수 있어요.

이걸 통과해야 영상에 광고가 붙고, 그 광고로 수익이 생기는 구조예요.

근데 이 승인 받는 데도 빠르면 며칠, 늦으면 석 달도 걸린대요.

유튜브 수익 구조, 생각보다 복잡해요

광고 수익

영상 시작 전에 뜨는 광고 있죠?

그걸로 돈이 생겨요. 근데 광고도 종류가 달라요.

5초 후 건너뛰기 되는 광고: 시청자가 5초 넘게 봐야 수익이 발생해요.

5초 보고 바로 넘기면 땡! 건너뛸 수 없는 짧은 광고(범퍼애드): 이건 1000회 노출에 3,000~3,500원 정도 수익이래요.

그런데 이 광고 수익은 유튜버가 다 가져가는 게 아니고, 유튜브가 45%, 유튜버가 55% 가져가는 구조예요.

협찬(PPL)

어느 정도 인기가 생기면 기업들이 “우리 제품 한번 소개해주세요~” 하고 연락 오는데, 이게 진짜 짭짤하대요.

영상에 자연스럽게 끼워넣는 거라 광고보다 단가가 높아요.

하지만 이런건 전문PD, 편집자, 인프로언서 수준이거나 연예인들이 하는 방식이니까 평범한 사람이 하기에는 불가능한 이야기라고 봐야죠.

실시간 방송 후원(슈퍼챗)

라이브 방송할 때, 팬들이 돈 보내주는 거요. 이것도 인기 유튜버들한테는 큰 수입원이래요.

구독자 많다고 꼭 많이 버는 건 아니래요 - 이건 진짜 의외였어요.

“구독자 10만 명이면 최소 월 2000불은 벌겠지~” 하고 생각했는데, 조회 수, 광고 단가에 따라 완전 다르대요.

예를 들어, 구독자는 많은데 영상 잘 안 올리면? ... 수익 거의 없음 ㅋㅋ

구독자는 적어도 영상이 자주 올라오고 시청자 충성도가 높으면?... 수익 꽤 됨

그리고 광고 단가도 주제에 따라 달라요.

아이들 콘텐츠는 광고 단가 낮고, IT, 금융, 정치 콘텐츠는 단가가 확 높대요. 왜냐면 소비층의 구매력 차이 때문이죠.

유튜버 월 5천 불? 가능한 사람이 있고, 아닌 사람도 있어요

진짜 잘 되는 유튜버는 한 달에 만 불도 넘게 번대요. 하지만 그만큼 엄청 부지런하고 기획력 있고, 계속 분석도 한다고 해요.

반대로 구독자 10만 명이 있어도 영상 업로드도 안 하고, 조회 수 낮고, 광고 클릭률 떨어지면 수익은 월 100불도 안 되는 경우도 있대요.

유튜브는 그냥 "영상 몇 개 올리면 돈 된다~" 이게 아니고, 꾸준함 + 전략 + 센스 + 피드백 분석까지 다 갖춰야 돈 되는 진짜 직업이에요.

이 글 쓰면서 나도 한번 해볼까 싶다가도, 애들 라이드, 장보기, 집청소, 식사준비, 빨래… 현실의 벽은 높기만 하죠 ㅋㅋㅋ

그래도 우리 주부들, 세탁기 돌아가는 동안 하나씩 찍어 올리는 ‘생활 유튜브’로 조용히 수익 만들어가는 날도 오겠죠?

오늘 저녁 메뉴 고민하다 말고 유튜버 수익구조 정리해본 타코마 주부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