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장내 유익균, 즉 우리 몸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요즘 들어 유전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우리 체내의 미생물 조성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이 중에서도 대다수가 장(주로 소장과 대장)에 자리 잡고 있어서, 우리의 건강과 면역력, 감염 예방 등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보통 건강식이라고 하면 모유, 유기농, 무방부제, 무항생제, 발효 음식, 신선식품, 슬로우푸드, 항염증 음식, 채식, 생식 등 다양한 형태가 있잖아요. 사실 이런 음식이나 식습관이 우리 몸에 직접적으로 이로운 이유 중 하나는, 이들이 체내 미생물 조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고, 결국에는 우리에게 이로운 균이 늘어나게 하는 데 큰 도움을 주기 때문이랍니다.

우리 몸에 유익균이 많아지면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는 면역력 향상, 감염 위험 감소, 소화능력 및 대사 기능 향상 등이 있어요. 실제로 인간은 수분, 비타민,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무기질, 섬유질 정도만으로도 생존할 수 있지만, 이 세상은 세균으로 가득 차 있고 우리 몸 역시 그 터전이 되기 때문에, 세균을 무시할 순 없다는 거죠.

하지만 이런 유익균 환경은 나쁜 식습관뿐 아니라 항생제 복용 때문에도 쉽게 파괴될 수 있어요. 항생제는 몸에 유익한지 해로운지 가리지 않고 세균을 죽여버리니까요. 가장 흔한 예로 위막성 대장염이 있는데, 광범위 항생제를 복용하면 장내 유익균이 대거 사라지고, 대신 C. difficile 같은 균이 자리잡아 문제를 일으키게 되어요.

북미 지역에서는 항생제 오남용으로 생긴 항생제 내성균을 없애기 위한 방법으로, 새로운 항생제 개발 대신 유산균을 꾸준히 섭취하는 방향을 제시했다고 해요. 그 결과 캐나다인의 4분의 1 이상이 매일 유산균을 복용한다고 하니, 유산균에 대한 관심이 정말 대단하죠.

결국 핵심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무엇을 먹고 어떻게 생활하느냐가 장내 미생물 균형에 직결된다는 거예요. 건강한 음식을 고르고, 너무 맵거나 짠 자극적 식품은 줄이고, 스트레스 관리를 통해 장내 환경을 건강하게 유지해보세요. 그러면 유익균이 잘 자리 잡을 뿐 아니라, 우리 몸 전체에 걸쳐 훨씬 나은 건강 상태를 느끼게 되실 거예요.

오늘은 체내 미생물, 그중에서도 특히 장내 유익균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렸는데요. 앞으로 장내 건강에 더 관심을 두고, 일상 속 작은 습관부터 하나씩 바꿔보시면 어떨까요? 모두 건강한 일상 되시길 바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