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쌀을 생산하는 주요 지역과, 특히 캘리포니아 쌀 생산에 관한 이야기를 나눠볼게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미국에서도 쌀을 재배해?” 하고 궁금해하시더라고요.
저 역시 한때는 ‘미국이 정말 쌀 농사도 크게 짓나?’ 싶었는데, 알고 보니 미국에서도 상당량의 쌀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쌀이 생산되는 주요 지역은 크게 남부 지역(아칸소,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미주리, 텍사스)와 서부의 캘리포니아로 나뉩니다.-
아칸소(Arkansas): 미국 내 최대 쌀 생산지로, 전체 생산량의 약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요.
-
루이지애나(Louisiana), 미시시피(Mississippi), 텍사스(Texas), 미주리(Missouri): 남부 강 유역을 따라 쌀 농사를 짓습니다.
-
캘리포니아(California):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쌀 생산지이며, 주로 중·단립종(일본식 쌀)에 특화되어 있어요.
미국에서는 재배되는 품종이 지역별로 조금 다릅니다. 남부 지역은 주로 길고 가는 롱 그레인(long-grain) 쌀을 많이 재배하는 반면, 캘리포니아는 중간 길이 혹은 짧은 길이(medium-grain & short-grain), 즉 우리에게 친숙한 ‘일본식 쌀’을 주로 생산합니다.
캘리포니아에서의 쌀 생산
캘리포니아 쌀은 새크라멘토 밸리(Sacramento Valley) 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로 재배되고 있어요. 새크라멘토 강 주변은 토양이 비옥하고, 필요할 때 관개수를 공급받기 편해 쌀농사에 유리합니다.
-
새크라멘토 밸리는 캘리포니아 북부에 위치하며, 강을 끼고 있어 논에 물을 대기가 수월해요.
-
상대적으로 서늘한 밤 기온 덕분에 중단립종을 재배하기에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주로 일본식 쌀 품종인 ‘Calrose’(캘로즈) 등이 유명합니다.
-
캘로즈(Calrose): 스시나 롤 같은 일식에 잘 어울려서 아시아 시장에서도 꽤 사랑받고 있어요.
-
품질 면에서 쫄깃한 식감과 차진 맛을 어느 정도 구현해, 한식용으로도 쓰이는 편입니다.
미국 쌀, 왜 주목받나?
-
현지 소비 + 수출
생각보다 미국인들도 다양한 요리에 쌀을 활용하고, 또 이민자나 아시아계 인구가 많아서 수요가 꽤 큽니다. 게다가 미국산 쌀을 아시아로 역수출하기도 해요. -
특수 품종 연구
캘리포니아 대학(UC Davis) 등 농업 연구 기관이 많은 지원을 해주어, 새로운 품종이나 효율적인 재배법 연구가 활발합니다.
미국에서 쌀을 많이 생산하는 지역으로는 남부(아칸소,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미주리, 텍사스)와 캘리포니아가 대표적입니다. 그중 캘리포니아는 새크라멘토 밸리를 중심으로 중·단립종 쌀을 대규모로 재배하고 있어요. 특히 ‘캘로즈’ 품종이 유명하며, 일식이나 한식을 즐기는 분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죠.
다만, 캘리포니아는 건조한 기후 특성상 물 확보가 중요한데, 수년간의 가뭄 문제 등 환경 이슈와 맞물려 생산량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안정적인 관개 시설과 활발한 연구 덕분에 미국 쌀 생산에서 늘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어요.
혹시 캘리포니아 쌀을 접할 기회가 있다면, ‘Calrose’ 라벨을 찾아보시는 것도 하나의 팁입니다. 전통적인 동아시아 쌀보다는 조금 다른 식감을 줄 수 있지만, 밥 자체가 찰기가 꽤 있어서 한국 음식에도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오늘은 미국 쌀 주요 생산지와 캘리포니아 쌀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봤는데요,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